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주요 급등주

급등주 우듬지팜 파헤치기(기업편)

by 누늘 2023. 10. 26.
반응형

기업분석 우듬지팜편 썸네일

중동의 대규모 자본이 흐르는 방향은? 스마트팜 관련주

국제원예박람해 한국관 개관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모습 (출처 = 뉴시스)

올 상반기 사우디에서 추진하는 여러 국책 사업으로 국내 주식 시장이 시끄러웠습니다. 

'더 라인'이라는 사막 개발 사업부터 AI 영상 진단 의료 사업 등 중동과 엮이기만 하면 상한가를 기록할 만큼 중동과의 

커넥션이 불러올 잠재적 가치는 엄청납니다.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카타르 국빈 방문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스마트팜에 대해서 분석해 봤습니다. 

 

스마트팜, 열악한 환경의 중동을 해결해줄 수 있는 해결책

스마트팜은 인공적으로 온도와 습도, 빛 등의 환경적 요인들을 설정할 수 있는 공간에서 농작물들을 재배하는 농장입니다. 그리 거창한 것이 아닌 비닐하우스에 환경적 요인을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접목시키면

그것도 스마트팜의 일종이 되는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심해지고 있는 이상기후(폭염, 태풍)등을 고려했을 때도 스마트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인 BIS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팜 시장 규모는 이미 올해 약 26조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2026년에는 약 44조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합니다.  매해 2 자릿수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만한 성장 예측도 나오고 있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국내 스마트팜 시장 또한 2018년 약 4조 7천억 원에서 지난해 6조까지 성장한 것으로 보아 성장세가 매우 가파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부도 올해 농식품 및 전후방산업(스마트팜) 수출 확대를 위해 6,30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하니 많은 자본이 투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관심은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카타르 국빈 방문으로 더욱 커졌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카타르에서 24일에 열린 도하 국제원예박람회 한국관에 방문하여 중동 시장의 스마트팜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자국 기업들을 방문했습니다. 스마트팜 사업에 각 국의 정부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다는 것은 곧 정부 수혜주가 된다는 의미이며, 일반적인 테마보다 많은 양의 자본이 투입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뿐만 아니라 올해 9월 13일에는 알 수베이 카타르 자치행정부 장관을 면담하여 스마트팜 투자 활성화와 같은 내용을 면담한 적도 있습니다. 이미 그때부터 스마트팜 농업 분야에서의 한국과 카타르의 상호 발전적인 관계를 구축하기로 약속했던 것입니다. 카타르는 사막으로 인하여 전통적으로 농산물 수입량이 많은 국가이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의 스마트농업 진출이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이번 국빈 방문을 계기로 농림축산식품부는 카타르와 한국의 스마트팜 산업과 연구개발(R&D)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카타르 국부펀드의 한국 스마트팜 공공투자 협력을 제안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한국의 스마트농업 기술교육 및 실증 관련 공공기반 시설인 '스마트팜 혁신밸리' 모델도 소개하며, 한국과 카타르 간의 공공투자를 언급했습니다.  

이처럼 정부와 엮이는 사업들은 하나쯤은 포트폴리오에 넣어도 될만큼 잠재 가치가 높게 평가됩니다. 

반응형

 

우듬지팜, 이번 카타르와의 협약의 최대 수혜주?

10월 25일 장마감 기준 상한가에 도달한 우듬지팜

10월 25일 기준으로 장초반부터 강하게 치고 올라 상한가에 도달한 우듬지팜입니다. 

금일 코스닥이 -1.79% 하락했음에도 이렇게 장초반부터 강하게 치고 올라온 모습을 보면 얼마나 시장의 관심을 받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우듬지팜은 국내 최대의 반밀폐형 스마트팜을 통하여 토마토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재배한 토마토를 스테비아 토마토로 생산 가공하여 2차 가공식품도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토마토에서 나아가  스마트팜 설비 및 재배 기술을 수출 확대하고, 유러피언 채소와 콜라비 등 다양한 재배 상품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함으로써 스마트팜 종합회사로 성장 모멘텀을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입니다. 

 

기술력으로는 스마트팜 사업중 수요가 많은 반밀폐 유리온실을 국내최초로 개발하여 스마트팜 설계와 운영 능력을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우듬지팜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규모 K 스마트팜 테마파크 단지 조성과 더불어 스마트팜 수출 MOU가 화제가 된 적 있습니다. 우듬지팜과 K 스마트팜과 관련하여 휴스템코리아가 공동사업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휴스템코리아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주와 MOA(합의각서)를 체결하고, KSA 시더스팜월드라는 스마트팜 중심의 첨단 농업 테마 단지를 만드는 것입니다.  

 

추가로 우듬지팜 자체가 사우디 현지서 455억 규모의 MOU를 맺기도 했으니, 이번 카타르와의 스마트팜 투자 협약과 MOU에서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듬지팜 기술적 분석(그래프를 클릭하시면 확대됩니다.)

#설명은 글자 색상으로 구분해뒀습니다. 그래프의 체크된 부분의 색상과 같이 비교하시면 됩니다. 

다만, 우듬지팜은 상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차트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많지 않습니다.

 

우듬지팜 기술적 차트 분석

우선, 이동평균선을 보겠습니다. 

5일선, 10일선, 20일선을 두고 비교를 해보았고, 이번 급등으로 인하여 5일선이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오늘 저점을 봤을 때 20일선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아 지지선을 20일선으로 잡아도 될 것 같습니다. 

 

두 번째로, 거래량을 보겠습니다. 

상장 이후 주가를 4,000원대까지 끌어올린 후 윗꼬리를 남겼고, 그다음 날도 위꼬리 음봉을 보여주며 지속적으로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BV 차트 상으로도 엄청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급등으로 인해 이전만큼은 아니지만 거래량이 계속해서 늘고 있으며, OBV차트도 쭉 상승 중입니다. 

상장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뚜렷한 매집봉도 보이지 않아, 물량을 더 모으기 위해서는 상승 추세를 유지하면서도 중간중간에 강한 하락을 보여주거나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종목의 기술적 분석은 개인적인 견해가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적으로 의지하여 매매하시기보다는 하나의 참고 자료로

사용하신다면 더 좋은 매매를 하실 수 있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